월배당,고배당 JEPI ETF

JEPI ETF는 매월 현금흐름을 만들수 있는 액티브 ETF이며 현재 기준 배당률이 무려 9%대를 형성중입니다.
JEPI ETF는 일반 주식형 ETF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진 상품이며, 커버드콜 전략을 가지고 운영하는 ETF입니다.

JEPI ETF
JEPI ETF

커버드 콜

커버드콜 전략(Convered Call)은 일정한 가격 범위 내에서 투자 자산의 가격이 등락을 할 경우 투자 수익을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투자 전략 중 하나입니다.

현물 (주식) 투자 상품 구매와 동시에 해당 상품에 상응하는 파생투자 상품 콜 옵션을 동시에 매각하는 투자 전략을 뜻 합니다.

해당 개념을 굳이 깊게 알 필요는 없고 JEPI를 구매하고자 한다면 대세 상승장에서는 빛을 발휘 하지 못하는 상품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또한 하락 or 횡보장이 예상된다면 해당 상품을 매수 고려하기 적절한 상품입니다. 이유는 커버드콜로 인해 상승이 어느정도 막혀 있기 때문입니다.

커버드콜 전략 이해하기

액티브 펀드입니다. 

ETF의 운용방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액티브 vs. 패시브라고 하는 방식입니다. 시장을 추종하는 SPY, IVV, VOO, QQQ 등은 모두 패시브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장을 따라가는 전략이죠. 

반면 액티브 ETF는 이름 그대로 보다 활동적인 운용전략을 펼칩니다. 시장대비 높은 수익을 만드는 게 목표인 펀드입니다. 이렇게 운용에 대한 수고(노력)가 많이 필요하다 보니 (실제로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비용 수수료가 패시브 보다는 높습니다. JEPI의 비용이 0.35%인 점이죠. 

ELN (Equity linked note) 투자전략을 사용합니다.

기술적인 투자 전략이니 간단히만 짚고 갈게요. 이 전략은 채권과 같이 고정적 수익을 발생시키는 금융상품과 주식의 성과를 연동시킨다고 해요. 그리고 여기에서 추가적인 수익을 얻고자 하는 금융기법인데요.

일반적인 채권의 평균 이상의 수익을 내며 상승하는 장에서 올라가는데 제한은 없다고 합니다. 반대로 떨어지는 시장에서 하락폭은 어느 정도 방어하고요. 이론적으로는 좋은 전략 같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금융상품의 투자구조는 완벽하지 않기에 무조건 믿기보다는 꾸준하게 성과를 모니터링하면서 실제 전략이 시장에서 먹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JEPI ETF 보유 종목 

JEPI ETF가 투자하는 자산 및 회사에 대한 정보입니다 

  • 투자자산 수: 95개
  • Top 10 자산의 비중 : 26%
  • 보유자산 Top 15

위에서 얘기한 ENL 전략을 위한 equity, 채권, 현금자산이 먼저 눈에 띕니다.

매월 배당금으로 입금되는 금액의 80%이상이 상위 ENL에서 수익이 발생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변동성을 낮추면서 S&P 500의 성과를 장기적으로 따라가기 위한 자산 들일 텐데요.  흥미로운 점은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 아마존, 타깃 등은 과연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회사로 평가받고 있는지입니다. TOP 15에 애플, 테슬라가 보이지는 않네요.

JEPI ETF 보유종목
JEPI ETF 보유종목

마지막으로 JEPI는 신생 ETF입니다. 이로 인해 아직 검증되지 않은 것들이 많으며, 배당금의 대부분이 ENL에서 발생하며 이로인해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주가 방어는 잘 되고 있으며, 고배당으로 인한 매월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들기에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